본문 바로가기
캠핑라이프

초보캠퍼를 위한 장비선택 가이드 - 텐트 3편

by 둠칫둠칫두둠칫 2022. 7. 3.

지난 '초보 캠퍼를 위한 장비 선택 가이드 - 텐트 1, 2편'에 이어 텐트 마지막 3편이 되겠습니다. 원단 구분에 따른 텐트 종류와 형태에 따른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 3편에서는 인원수에 따른 텐트 크기 선택 가이드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텐트는 백패킹용 1~2 인용부터 대형 리빙쉘 5~6인용, 대형 쉘터는 10~20인 까지 용도에 맞춰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최근엔 2~3인 캠핑만 다니고 있어 아주 큰 텐트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공간을 여유 있게 사용하고 싶어 4인용 텐트(5인까지 사용 가능)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텐트를 선택할 때 필요 인원수에 딱 맞는 크기의 텐트를 선택하시면 100% 좁다고 느끼실 겁니다. 해서 어떻게 선택하는 게 좋을지 선택 가이드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잠자리 공간 확보하기

텐트 실내에 잠자리를 만들기 위한 용품으로 가장 대중적인 용품이 자충 매트입니다. 자충 매트란 말 그대로 매트 안에 (공기가) 자가 충전되는 매트를 뜻합니다. 매트 내부에 메모리폼 같은 소재가 들어가 있어 매트의 바람구멍을 열어두면 폼의 복원력에 의해 매트가 충전되는 원리입니다. 텐트의 크기를 정해야 하는데 첫 번째 챕터부터 느닷없이 매트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잠자리 확보를 위한 기본적 크기가 매트의 크기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시장에 출시되는 매트의 크기는 용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가장 대중적인 크기는 1인 기준 폭 60cm~90cm 크기입니다. 길이는 보통 190cm~200cm 정도가 일반적입니다. 이 매트를 기준으로 1인 기준 확보해야 하는 공간은 최소 60cm 정도는 확보해야 수면 시 큰 불편함이 없습니다. 필자의 경우 평균적으로 1인 70cm 정도는 확보하라고 권해드립니다. 따라서 3인 가족 기준으로 최소로 확보해야 할 잠자리 공간은 폭 70cm * 3인 = 210cm의 공간과 길이 200cm의 공간을 확보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이걸 기준으로 텐트 바닥면의 크기를 결정하시되 이 수치가 절대적인 수치는 아닙니다. 이보다는 넓게 확보해야 텐트 실내에서 생활 시 불편함을 회소화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이상적인 크기는 가족 인원수에 1인을 추가하여 1인당 60cm~70cm만큼의 폭을 여유공간으로 잡으시면 쾌적한 실내공간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로 길이도 200cm에서 60cm 안팎으로 여유공간을 확보한다면 겨울철 난로를 놓거나 간단한 테이블과 수납함을 놓고 집기나 작은 용품들을 깔끔하게 정리하실 수 있습니다.

 

오크돔M 실내공간
캠핑칸 오크돔M 텐트의 실내공간 세팅

필자인 제 기준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력 텐트는 국내 제조사인 캠핑칸社 오크돔M 사이즈 텐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내 바닥 면적 크기는 너비 330cm에 길이 260cm인 돔텐트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하는 텐트입니다.

제가 필요한 공간은 3인 기준 이므로 (3인+여유 1인) * 폭 60cm = 240cm입니다. 제가 미니멈으로 필요한 공간은 사실 3인 기준 210cm 정도이지만 1인만큼을 추가하여 1인 기준 60cm로 계산하여 필요한 폭은 240cm입니다. 텐트의 길이가 260cm이므로 3인 사용 시 아주 여유 있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260cm x 190cm 크기의 에어매트를 텐트 실내 길이에 딱 맞춰 넣어 사용 중입니다. 곧 너비가 330cm인 텐트 실내에 330cm - 190cm = 140cm만큼의 여유공간이 확보되어있어 수납함을 넣고도 여유 있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아실 수 있듯 매트와 간단한 집기류를 놓고도 상당히 많은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있습니다. 물론 딸아이와 부녀 캠핑으로 갔던 캠핑이라 매트를 좀 작은 매트로 두 개 펼쳐두었지만 오른쪽 여유공간은 풀사이즈 에어매트를 넣었을 때와 차이가 없습니다.

 

죽는 공간은 실내 생활을 답답하게 한다

리빙쉘 텐트의 이너텐트 같은 경우 대부분 벽체가 되는 부분의 경사도가 심하지 않아 죽는 공간이 많지 않지만 일반 돔 형태의 텐트인 경우 텐트 바닥의 구석 쪽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벽체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떨어집니다. 또한 중앙부 고가 가장 높은 부분을 제외하면 기울어진 면때문에 좁게 느껴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에 폴대를 추가하여 최대한 죽는 공간을 없애려는 텐트 제조사들에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여름철 텐트 안에서는 잠만 자는 경우라면 또 달리 생각할 수 있지만 텐트 내부에서의 생활도 생각하신다면 이 부분도 간과하지 않으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별것 아니라 생각하실 수 있지만 많은 캠퍼분들이 죽는 공간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건 그만큼의 이유가 있는 것이라 생각하고 염두해 두시길 바랍니다.

 

거실형 텐트 전실 확보 공간은?

겨울철 리빙쉘 텐트 생활 시 잠자리 공간만큼이나 중요한 공간이 전실 공간의 크기입니다. 전실 공간의 확보 크기는 사실상 정답은 없지만 3~4인 기준 가족 캠퍼의 경우 리빙쉘 텐트의 전체 길이를 최소 6m 이상급으로 선택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렇게 하셔야 테이블이나 기타 집기류 놓고, 난로까지 놓고 하면 겨우 생활공간이 확보됩니다. 동선도 잘 생각하셔서 가구 배치를 하셔야 하고요. 전실 가구 배치 이 부분에 대해서도 나중에 별도로 콘텐츠를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족 캠퍼 기준 이너텐트 공간을 제외한 전실 공간을 최소 4m 이상은 확보해야 큰 불편함이 없으시니 그 부분 잘 고려하셔서 선택하시길 권장합니다. 아래 사진은 제가 사용 중인 오크돔M 베스티블 확장한 전실공간 세팅 사진입니다.

 

오크돔M 베스티블
오크돔M 베스티블 확장 전실공간 세팅

커플 캠퍼인 2인 기준의 경우 사실상 전실 공간이 많이 필요하진 않아 전체 길이 기준 4m~5m 정도의 리빙쉘 텐트면 큰 불편함 없이 생활 가능합니다. 하지만 최근 캠퍼분들 보면 2인 커플 캠핑도 기함급 리빙쉘 텐트에 실내를 예쁘게 꾸미시는 캠퍼분들이 많습니다. 이는 취향에 따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금 까지 알아본 구성들을 조합하여 내 조건에 맞는 키워드로 텐트를 알아보시면 선택지를 많이 정리하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제 기준에 맞춘 텐트를 찾는 과정을 다음 편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인도 본인이 원하는 캠핑 스타일이나 원하는 조건 등을 정하신 후 조건에 맞는 키워드들을 뽑아 그 키워드를 기준으로 텐트를 찾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캠핑 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함께 고민해 봅시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